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기호유학의 초석을 세운 사계 김장생이 비단강이라 불리는 금강가에 지은 임리정 논산여행

충청도 여행지

by 마패여행 2012. 7. 3. 05:50

본문

728x90

기호유학의 초석을 세운 사계 김장생이 비단강이라 불리는 금강가에 지은 임리정 논산여행

강경젓갈로 유명한 논산 강경뜰로 흘러드는 금강을 바라보는 언덕에 자리잡은 임리정은 서인의 장령이자 예학의 태두로 기호유학의 초석을 세운 사계 김장생이 자신의 학문을 연마하고 후손들에게 예학을 기반으로 하는 기호유학을 가르치기 위해 세운 정자이다

 

 

비단강이라 불리는 금강은 웅진강, 백마강, 고성진강 이라고도 불리는데 비단같이 흐르는 강물을 바라보면서 지은 정자는 처음에는 황산정으로 불리었으나 “깊은 못가에 서 있는 것과 같이, 얇은 얼음장을 밟는 것과 같이, 자기의 처신과 행동에 항상 신중을 기하라”라는 [시경]의 구절을 따서 임리정이라 이름을 바꾸었다.

 

 

율곡 이이·우계 성혼·사계 김장생·정암 조광조·퇴계 이황·우암 송시열 등의 여섯명의 선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후학을 교육하기 위해 세운 죽림서원 왼편 언덕에 자리잡은 임리정은 임리정은 팔작지붕에 앞면 3칸, 옆면 2칸 규모로 지어진 건축물이다.

 

사계 김장생(1548∼1631)이 율곡 이이·우계 성혼을 모시기 위해 황산서원(죽림서원)을 세운 후 조선 인조 4년(1626) 아름다운 금강을 바라보는 언덕에 세운 임리정 앞에 세워져 있는 임리정기비의 비문은 김상현이 찬하고, 김영목이 썼는데 김장생의 강학처에 정자를 세우고, 서원을 창건, 추배, 훼철되기까지의 일과 임리정기비를 세우기까지의 과정이 기록되어 있다

 

임리정기비에는 “슬프도다. 정자는 한 도리의 작은 규모이나 우주 변화의 묘함을 거두어들이고 음양의 커지고 작아지는 기미를 포함하고 있으니 험준한 바위를 끌어안고 큰 물결과 급한 소용돌이를 가슴에 안으니 앞으로 오래도록 이지러지지 않으며 장차 더불어 그 수명을 함께 할 것이다” 라는 글귀가 적혀있다. 

 

송익필로부터 사서와 근사록 등 학문을 배운 사계 김장생은 20세 무렵에 율곡 이이에게 이기설 등의 학문을 배워 1578년(선조 11) 벼슬길에 나섰으나 동인 서인 남인 북인으로 나뉘어 당파싸움이 치열했고 이괄의 난과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으로 혼란스런 시기여서 사상계에서는 기존의 주자학적 정통주의가 훨씬 강력하게 대두되었다.

 

송익필에게서 배운 예론을 깊이 연구하여 예학에 정통한 사계 김장생은 율곡 이이의 이기설을 예론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삼아 예학의 태두가 되었으며 학문을 아들 김집에게 이어받게 하여 예학파의 주류를 형성하게 하였으며 죽림서원(황산서원), 연산 돈암서원을 비롯하여 안성 도기서원 등에 제향 되었으며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서인의 장령으로 국가의 위기체제를 극복할 수 있는 이념적 체계로서 예를 강조하여 일상생활에서 항상 계구신독을 염두에 두고 심성의 온전함을 지키며 그 마음이 발함에 모두 예에 맞게 행하고 효를 백행의 근본으로 여겨 가례를 통한 유교적인 가족질서를 확립하고 관혼상제를 중시하는 등 예학론을 주창한 김장생의 이론은 서인 노론 집권세력의 정치이념을 되었다.

 

사계김장생의 아들 김집과 우암 송시열을 비롯하여, 송준길, 이유태, 강석기, 이시직, 최명길, 이덕수, 최명룡 등을 중심으로 기호학파가 크게 성하여 이황의 뒤를 이은 영남학파와 쌍벽을 이루었다.

김장생의 저서로는 상례비요, 가례집람, 전례문답 , 의례문답 등 예에 관한 것과 근사록석의, 경서변의 와 시문집을 모은 사계선생전서가 전해온다.

 

충남 논산 기호유학 역사여행

임리정 시도유형문화재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7호

충남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 95번지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