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문화유산] 전남 구례 지리산 국보제35호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

전라도 여행지

by 마패여행 2007. 6. 7. 20:59

본문

728x90

[문화유산] 전남 구례 지리산 국보제35호 화엄사사사자삼층석탑(華嚴寺四獅子三層石塔)

 


탑이란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봉안한 것으로 불교의 상징적인 신앙대상이다. 화엄사 4사자3층석탑은 각황전 서남쪽 언덕길을 오르면 효대라는 높은 지대에 서있는데 통일신라시대때 건립된 것으로 높이 6.7m이다. 4사자3층석탑은 불국사 다보탑과 비교되는 탑으로 그 형식면에서도 아주 독특하다. 기본조형은 2층기단위에 3층석탑의 기본형을 따르고 있으나 상층 기단에서 특이한 의장(意匠)을 보인다. 하층기단면에는 3구씩의 안상을 조각하여 그 안에 천인상(天人像)을 양각하였고 모두 보관(寶冠)과 영락(瓔洛)으로 몸을 장식, 천의를 공중에 휘날리며, 또한 연화대 위에 앉은 자세도 각양 각태로 악기를 잡아 주악하고 혹은 팔을 벌려 춤을 추며, 혹은 꽃을 받혀 공양 하는 모습으로 모두 불천을 찬미하고 있다. 상층기단은 우주(隅柱)를 대신하여 암수두쌍의 사자를 배치하고 두상에는 연화대를 얹어 갑석을 받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탑신부는 일반형의 탑신과 같으나 1층 탑신 사면에 문살형을 모방하여 조각하고 그 좌우로 인왕상, 양측면에 사천왕상, 배면에 보살상을 양각함으로서 능숙한 기법과 균제된 조형을 명공(名工)의 신품(神品)이라고 칭찬할 수 있다. 석탑 바로 앞 석등에는 끓어 앉은 숭상이 조각되어 있는데 이를 두고 이러한 이야기도 전해온다. 석탑 중앙에 합장한 채 서 있는 숭상은 화엄사를 창건한 연기조사의 어머니인 비구니의 모습이라고 하며 석등의 무릎을 꿇어 앉아 있는 숭상은 어머니에게 효성이 지극하였던 연기조사가 차공양을 하는 모습이라고 한다. 이 탑에서는 통일신라시대 당시 신앙의 일면과 석탑 조각의 독특한 재주를 엿볼 수 있으며 현재 국내에 남은 사자탑 가운데 가장 우수한 작품으로 불국사의 다보탑과 함께 한국석탑의 쌍벽을 이룬다.

전남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12 화엄사

http://www.gurye.go.kr/culture/tour_famous/culture_fa.html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지리산 자락에 있는 화엄사는 신라 진흥왕 5년(544)에 연기조사(緣起祖師)가 세운 절로, 호남 제일의 사찰답게 많은 부속 건물과 화엄사 각황전앞석등(국보 제12호), 화엄사 동오층석탑(보물 제132호), 화엄사 서오층석탑(보물 제133호), 화엄사 원통전전사자탑(보물 제300호) 등의 중요한 유물들이 전해온다. 탑은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인 절 서북쪽의 높은 대지에 석등과 마주보고 서 있으며, 2단의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아래층 기단의 각 면에는 천인상(天人像)을 도드라지게 새겼는데, 악기와 꽃을 받치고 춤추며 찬미하는 등의 다양한 모습이 그려져 있다. 가장 주목되는 위층 기단은 암수 네 마리의 사자를 각 모퉁이에 기둥삼아 세워 놓은 구조로, 모두 앞을 바라보며 입을 벌린 채 날카로운 이를 드러내고 있다. 사자들에 에워싸여 있는 중앙에는 합장한 채 서있는 스님상이 있는데 이는 연기조사의 어머니라고 전하며, 바로 앞 석등의 탑을 향해 꿇어앉아 있는 스님상은 석등을 이고 어머니께 차를 공양하는 연기조사의 지극한 효성을 표현해 놓은 것이라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탑신은 1층 몸돌에 문짝 모양을 본떠 새기고, 양 옆으로 인왕상(仁王像), 사천왕상(四天王像), 보살상을 조각해 두었다. 평평한 경사를 보이고 있는 지붕돌은 밑면에 5단씩의 받침이 있으며, 처마는 네 귀퉁이에서 살짝 들려 있다. 탑의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의 받침돌인 노반(露盤)과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만이 남아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각 부분의 조각이 뛰어나며, 지붕돌에서 경쾌한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어 통일신라 전성기인 8세기 중엽에 만들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특히 위층 기단의 사자조각은 탑 구성의 한 역할을 하고 있어 불국사 다보탑(국보 제20호)과 더불어 우리나라 이형(異形)석탑의 쌍벽을 이루고 있다.
http://www.cha.go.kr/newinfo/Culresult_Db_View.jsp?VdkVgwKey=11,00350000,36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