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여행지] 경북 영주시 소백산 부석사 무량수전
영주시 부석면 북지리
소백산의 줄기에 자리를 잡을 영주 봉황산 부석사는 신라 문무왕 16년(서기 676년)에 의상조사가 창건한 화엄종찰로 우리나라 최고의 목조건물인 무량수전을 비롯해 국보5점, 보물4점, 도 유형문화재 2점 등 많은 문화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10대 사찰중 하나이다.
특히 무량수전앞에 있는 안양루 앞으로 펼쳐진 소백산 줄기를 정원으로 끌어들인 사찰배치로 자연속의 하나가 된듯한 형상은 부석사의 명성을 높이는 것중의 하나가 되었다.
부석사를 창건한 의상대사가 당나라에 유학하고 있을 때 당 고종의 신라 침략 소식을 듣고 이를 왕에게 알리고 그가 닦은 화엄교학(華嚴敎學)을 펴기 위해 귀국하여 이 절을 창건 우리나라 화엄사상의
발원지가 되었다.
의상대사가 당나라에 유학하고 있을때 의상대사를 흠모했전 선묘라는 아가씨가 있었는데 의상이 배를 타고 당나라를 떠나자 "이몸이 용이되어 저배를 신라까지 안전하게 호위하여 스님이 불법을 전할수 있도록 하겟습니다"고 소원을 발하고 바다에 몸을 던져 용으로 화한 선묘는 이후 의상대사의 호법용이되어 그공덕을 기리기위해 부석사에 선묘각을 세우고 그뜻을 기리고 있다.
부석사는 신라 화엄종의 도량道場임에도 불구하고 본전인 무량수전에는 아미타불(阿彌陀佛)을
주불(主佛)로 모셨고, 무량 수전 앞에 안양문(安養門)을 세웠으니 『安養』은 곧 『極樂』을 일컬음이니
이 절은 바로 땅 위에 극락세계를 옮겨 놓은 격이 되는 것입니다.
부석사라 이름하게 됨은 무량수전(無量壽殿) 서쪽에 큰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는 아래의 바위와 서로 붙지 않고 떠 있어 `뜬돌'이라 부른데서 연유하였다고 한다.
불법이 우리나라에 전수되어 불교가 성행할때는 사찰은 신앙으로서만의 역활이 아니 다양한 역활을 수행하였었다.
서부개척시대의 교회가 마을의 중심에 세워져 신앙만이 아닌 마을공동체의 중심역활을 한것과
같이 이시대의 불교사찰도 변방지역에 세워져 신도들의 공동체 형성과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외적을 물리치고 방어하는 군사중심지의 역활도 수행하였다
이를 반증하는 설화 하나가 전래되고 있는데 의상대사가 부석사를 세울려고 하는데 인근의 흉포한 무리들이 몰려와 위해를 가하자 의상대사가 부석사 마당에 있던 큰 바위를 하늘로 띄워 흉포한 무리들에게 압력을 가하자 이에 놀란 무리들이 도망을 쳐서 이후 이인근은 평화로운 고을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그것이다.
지금도 부석사 무량수전 왼편에는 부석이라는 글이 파인 바위가 있어 이 설화를 전해주고 있다.
1916년 해체 보수시 발견된 묵서명에 의하면 고려 초기에 무량수전 등을 중창하였으나, 공민왕
7년(1358) 적의 병화를 당하여 우왕 2년(1376) 무량수전이 재건되고, 우왕3년(1377) 조사당(祖師堂)이 재건되었다고 적혀 있다
.
경내에는 신라유물인 무량수전 앞 석등(石燈)(국보 제17호), 석조여래좌상(石造如來坐像)(보물 제220호), 삼층석탑(三層石塔)(보물 제249호), 당간지주(幢竿支柱)(보물 제255호)등이 있고, 고려시대 유물인 무량수전(無量壽殿)(국보 제18호), 조사당(祖師堂)(국보 제19호), 소조여래좌상(塑造如來坐像)(국보 제45호), 조사당벽화(祖師堂壁畵)(국보 제46호), 고려각판(高麗刻板)(보물 제735호), 원융국사비(圓融 國師碑)(도유형문화재 제127호), 삼층석탑(三層石塔)(도유형문화재 제130호) 등이 있다.
특히, 무량수전은 우리나라 최고(最古)의 목조건물 중 하나로 배흘림기둥 건축양식으로 유명한곳이다
그리고 조사당벽화는 목조건물에 그려진 벽화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현재 유물전시관(遺物館展示館)에 보관되어 있다.
[추천] 영덕 옥계계곡/복사꽃(도화림:무릉도원) - 청송얼음골 (0) | 2007.12.09 |
---|---|
[추천여행지] 경북 문경 진남교반과 고모산성 그리고 선유동계곡 (0) | 2007.07.18 |
[추천여행지] 경북 봉화 구름으로 산문을 지었다는 청량산 청량사 (0) | 2007.06.28 |
[추천여행지] 경남 거제시 한려해상국립공원 해금강 (0) | 2007.06.20 |
[추천여행지] 경남 거제시 외도 보타니아 해상공원 (0) | 2007.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