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문경 송죽리 개성고씨가옥 문화재

경상도 여행지

by 마패여행 2021. 6. 23. 21:32

본문

728x90

경북 문경시 산양면 덕암안길 33 에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89호로 201162일 지정된 문경 송죽리 개성고씨가옥이 자리잡고 있다.

 

 

개성고씨는 임진왜란이 일어나기전 예문관 직제학을 지낸 고사원이 터를 잡기 시작해서 문경 각지역에 분가를 하였는데 송죽리에는 가장 큰집이 터를 잡고 살기 시작했다.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89호로 지정된 개성고씨가옥은 치당공(18631953) 고완과 그의 아들 고석림이 1933년에 건립하였다

 

 

해발 260m 덕암산 자락에서 흘러내린 산자락 끝에 남북으로 길게 정지한 대지의 남쪽 끝에 나있는 대문채를 들어서면 마주하는 사랑채와 그 뒤편에 놓인 튼˥형의 안채·고방채가 튼형을 이루고 있다.

 

 

안채가 남향한 사랑채와 직교하면서 동향으로 앉혀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랑채와 안채는 직·병렬로 배치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사랑채 전방 좌측인 대문채 우측의 모서리부와 고방채 뒤쪽에 측간을 두었다.

 

 

집 주위에는 블록 담장을 쌓고, 사랑채의 배면과 고방채 좌·우측에는 내외담장을 쌓아서 공간을 세 영역으로 구분했다.

 

 

배치구성을 보면 공간적·기능적으로 전통적인 유교 관습에 따른 남녀 구분이 지켜지면서도 안채로의 출입이 사랑채를 지나야 되는 등의 기본 틀이 점차 약해지고 있으며, 다음은 안채와 사랑채의 평면이 전·후퇴가 발달하고 측면에 툇간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안채는 근대 주생활상에 의한 실 면적 확대 요구를 수용하여 규모가 증대되면서 평면이 종횡으로 분할되어 겹집화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머름 없는 키 큰 창호와 고창 및 환기창, 쪽소로 장식과 종이반자 등도 19세기 후반 특히 근대기 가옥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모습이다.

 

개성고씨가옥은 근대 한옥의 두드러진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으며, 또 근대기 역사와 문화의 변동을 살펴 볼 수 있는 비교적 보존이 잘 되어 있다.

 

 

개성고씨가옥은 국가지정문화재 사업으로 2017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89호 문경 송죽리 개성고씨가옥(사랑채) 보수공사를 진행 하였다

 

 

문경 송죽리 개성고씨가옥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589

주소: 경북 문경시 산양면 덕암안길 33

 

관련글 더보기